💻 프로젝트/01. Graylog

[Graylog] Grok Patterns 적용하기

허나니 2023. 8. 14. 01:43
728x90

✍️ 개요

지난 시간에 Grok Patterns에 대해 공부해봤으니, 오늘은 Graylog에서 Grok Patterns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 Grok Patterns 만드는 법은 아래 링크로!! 

 

[Graylog] Grok Patterns이란?

🔎 Grok Patterns 이란? Logstash에서 제공하는 Filter 플러그인으로, 구조화되지 않은 로그 데이터에서 속성(키:값 쌍)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로 즉 Graylog에서 로그 분석(파싱)하는 역할을 하는 친구이다.

na-nii.tistory.com

⚙️ Grok Patterns 생성

내부망에서 캡쳐해와서 사진이 좀 깨졌네요 😭😭 메뉴얼 느낌이니까 음체로 가겠습니다-!

System에서 Grok Patterns을 누름.

패턴 생성을 누름.

패턴명 입력 (중복값 안됨)

패턴 입력

패턴과 매칭할 샘플 로그 입력

테스트 (필수는 아니며, 다양한 로그와 매칭해보는 게 좋음. 이전에 설명한 로그 테스트에서는 매칭이 되지만, Graylog 내에서는 매칭이 안될 수 있음.)

테스트 결과 (패턴이 매칭하면 위와 같이 나오나, 매칭되지 않으면 {} 값만 나옴)

⚙️ Grok Patterns 적용

System > Input에서 패턴을 적용할 Input을 선택

Etractors 관리를 누름.

 패턴을 적용할 메시지를 불러옴.

 최근에 들어온 메시지가 랜덤으로 나옴.

 만약, 특정 메시지를 호출하고 싶으면 오른쪽과 같이 메시지 내에 ID Index를 입력하면 됨.

(보편화된 메시지의 경우 12번을 로그인 메시지 등 특정 메시지의 경우 13번의 방법을 사용)

 

패턴을 적용할 필드 값에 Grok Pattern을 누름. (보통 message에 적용 많이 함)

위에서 생성한 패턴을 검색함.

미리 생성한 패턴을 넣을 수도 있고, 여기서 직접 작성할 수도 있음.

모든 메시지에 적용시킬지, 아니면 특정 문자열에 적용시킬지 선택할 수 있음.

추출기의 이름 작성

추출기 생성 버튼을 누름.

* Grok Pattern은 설정 후부터 적용되므로, 추이를 지켜봐야함

 

📌 느낀점

사진 화질이 깨져서 많이 속상하네요 😟😟 Grok Patterns은 만들기도 어렵고 적용하기도 까다로운 거 같아요ㅠㅠ 또 설정 후 부터 적용이 되니 로그가 들어올 때 까지 기다리고 확인하고 또 수정하고 이 작업들이 너무 귀찮고 오래 걸려요

다른 분들은 저처럼 고생하지 않고 쉽게 적용했으면 좋겠습니다 😄 다음에는 Pipeline에 대해 가져와볼게요!! 

728x90